티스토리 뷰

마지막으로 시계를 구입한 것은 바야흐로 대략 4년전, 통상 군인들이 많이 사용하는 지샥의 머드맨이다. 다만 일반 머드맨은 아니고 G-9000MS의 러스티블랙 버전이다. 아마 남들이 보면 무슨 차이인지 구분하지 못하겠지만 굳이 설명하자면 러스티블랙은 시계 모든 부분을 검정색을 비롯한 어두운 색으로 구성하여 야간에 눈에 띄지 않게 만든 버전이다. 야간 작전을 하는 군인을 위해 고안되었다고 하는데, 원체 검정색을 좋아하는 나는 보고 한눈에 반했던 기억이 있다.


이번에 새로 내 눈에 띄게 된 제품은 5600계열로 유명한, M5610BC와 M5610BB이다. BC와 BB의 차이는 BC는 시계의 밴드 부분이 메탈코어, 즉 메탈처럼 보이는 형태로 되어있다. 그에반해 BB는 유광블랙 색깔의 우레탄 밴드, 베젤 과 시계의 액정 부분이 잡다한 문양 없이 전부 깔끔한 블랙으로 되어있다.


5610 계열의 제품의 경우, 200m 방수 / 터프 솔라(태양 전지) / 전파 수신 / 절전 기능이 기본으로 탑제되어 있다. 기능에 대해 간략하게 설명하자면 터프 솔라는 태양광 충전으로 대략 10년은 배터리 교체가 필요 없으며 전파 수신은 시계 자체에서 전파를 수신받아 자동으로 시간을 맞춰주는 기능으로 국내뿐만 아니라 해외에서도 전파를 수신받아 현지 시간으로 시간을 맞출 수 있다.


5610BC의 경우 국내에 정식으로 들어오지 않아 해외에서 직구가 필요한 제품이며, 5610BB는 국내 G-SHOCK 매장에서 구입 할 수 있다. 필자의 경우 두 제품 모두 인터넷을 통해 각각 5610BC 16만원, 5610BB 14만원에 구매했다.


5610BB(왼쪽)와 5610BC(오른쪽)


각 제품 액정의 태양패널이 크게 다르다.


앞서 이야기 했듯 필자는 검정색을 굉장히 좋아한다. 원래대로라면 5610BC를 구입 할 예정이었으나, 5610BB의 액정 태양광 패널이 완전 블랙으로 깔끔하게 되어있어 혼을 빼앗겨 버렸다. 그러나 무광블랙을 좋아하지 유광블랙에는 전혀 흥미가 없어 몇날 며칠을 고민하게 되었다. 고심끝에 내린 판단은 두가지를 모두 구매하여 직접 커스텀을 하는 것, 결국 저질러 버렸다.


커스텀을 위한 준비


Watch tools


인터넷을 찾아보면 G-SHOCK 시계의 커스텀을 주 목적으로 사용하는 도구가 있다. 내가 구입한 시계는 스프링 봉의 형태로 시계 마디가 결합되어 있는데 그 스프링 봉을 손쉽게 분리할 수 있는 도구이다. 알리 익스프레스에서 구입했는데 한달이 지나도 배송이 도착하지 않아 급하게 대체품으로 군번줄을 준비했다. 다만 직접해보니 군번줄이 두꺼워 스프링 봉을 제거하기에는 무리가 있어 1자 드라이버를 이용해 분리했다. 분리는 초보자인 필자도 시간은 조금 걸렸으나 쉽게 분리할 수 있었다.


각각 분해를 완료한 모습


분해를 완료한 모습이다. 생각보다 간단하기 때문에 초보자도 어렵지 않게 분해할 수 있다. 다만 스프링 봉이나 나사의 경우 분실하기 쉽기 때문에 반드시 밀폐된 공간에서 하는 것이 좋다. 스프링 봉 안에 스프링의 탄성으로 인해 정말 멀리까지 날아가서 개방된 공간이라면 찾기 어렵다.



5610BC와 5610BB의 베젤, 밴드를 교체한 최종 모습이다. 사진을 보면 지샥 5610 시리즈의 베젤가드가 있다. 프로텍터, 불바, 베젤가드 등 굉장히 여러가지 이름으로 불리고 있으며 커스텀을 위해 알리 익스프레스에서 구매했다. 다만 프로텍터를 끼우면 베젤에 영구적인 자국이 남기 때문에 어떤 것이 더 마음에 드는지 보고 나중에 결정할 예정이다.



프로텍터 미착용(왼쪽) 프로텍터 착용(오른쪽)



프로텍터를 착용한 모습도 굉장히 마음에 드는데, 영구적인 자국이 남기 때문에 일단은 착용하지 않고 사용하면서 나중에 결정 할 예정이다.


이렇게 G-SHOCK 시리즈가 총 3개가 되었다.


다만 유광블랙은 취향이 아니기 때문에 나중에 처분하게 될 것 같지만, 메탈코어를 장착한 시계는 정말 너무 마음에 든다. 베젤, 밴드 교체의 경우 초보자도 어렵지 않게 할 수 있어 너무 고민하지 말고 시도해보는 걸 추천한다.


댓글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링크
«   2025/05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글 보관함